Special
Part 3 - keywords

2025 LIVING KEY-POINT 

자신을 표현하고 일상의 만족을 찾는 공간. 2025년에는 어떤 변화가  우리의 공간을 채울지, 전문가들이 주목한 키워드를 통해 살펴보자.

 

01. 다변성

© 미라벨

불확실성이 높아지는 요즘, 기존의 것에 약간의 변화를 주거나 새로운 방식으로 활용해 완전히 다른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는 아이템들이 빛을 발할 것이다. 2025년의 키워드로 ‘다변성’을 꼽은 이유. 가장 손쉽게 공간에 변화를 줄 수 있는 방법은 바로 패브릭 아이템을 사용하는 것인데, 식탁보 하나로 매일 보던 테이블이 새로운 분위기로 탈바꿈되고, 커튼 하나만 바꿔도 공간의 전체적인 인상이 완전히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잘 고른 티 타월은 벽을 꾸미는 액자의 역할을 하거나, 가구나 소품 밑에 깐다면 새로운 분위기를 만들어내기도 한다. 소파 컬러를 바꾸는 것이 부담스럽다면 다양한 쿠션을 활용해 변화를 시도해 보자. 이불 커버와 베개의 색상에만 변주를 주어도 침실의 무드가 완전히 달라질 수 있다. 올해는 이렇게 다채로운 패브릭 아이템으로 나만의 공간을 더욱 풍요롭고 아름답게 꾸미는 한 해가 되기를 바란다. 오에프알&미라벨 대표 박지수

 

02. 다목적 공간

© Montana
© Montana

현대인의 라이프스타일 변화는 다목적 공간을 새로운 리빙 키워드로 부상하게 했다. 도시의 좁은 생활 공간, 하이브리드 업무 환경의 확산은 하나의 공간을 여러 기능으로 활용할 수 있는 디자인에 대한 수요를 높였다. 특히 서울과 같이 인구밀도가 높은 도시에서는 다목적 공간의 필요성이 더욱 강조된다. 업무와 일상이 혼재된 라이프스타일에 맞춰 공간을 분리하거나 통합하는 디자인 솔루션이 주목받으며, 이에 따라 조립과 해체가 가능한 모듈형 가구나 파티션이 인기를 끌고 있다. 이 가구들은 사용자의 필요와 목적에 따라 다양한 공간 구성을 가능케 한다. 대표적인 브랜드로 몬타나와 스트링 퍼니처가 있다. 공간 활용도를 극대화해 다목적 공간 구성에 적합한 이들 브랜드의 제품들은 내구성이 높고 재구성이 가능해 친환경적인 면모도 갖추고 있다. 단순히 거주를 위한 공간이 아닌 자신을 표현하고 다채로운 경험을 제공하는 공간을 선호하는 현대인에게도 제격. _에잇컬러스 대표 정윤재

 

03. 뉴트럴 & 적용가능성

© String Furniture
© String Furniture

기후변화, 일상을 바꿔놓은 팬데믹, 빠르게 흘러가는 뉴스와 자극적인 미디어. 미래를 예측하기 힘든 세상일수록 사람들은 자신만의 공간에서 작은 행복을 찾고자 한다. 리빙 트렌드에도 아늑하고 편안함을 추구하는 이런 심리가 반영된다. 루밍의 MD팀이 꼽은 2025년의 리빙 키워드 중 하나는 ‘뉴트럴’. 뉴트럴 컬러는 자극을 덜어내는 동시에 차분한 분위기를 연출한다. 뉴트럴 톤과 잘 어울리는 부드러운 텍스처의 소재들도 인기를 끌 전망이다. 리빙 업계에서는 꾸준히 친환경, 재생 가능성, 그리고 지속 가능성에 대한 책임을 가지고 리사이클, 업사이클 제품들을 선보이고 있다. 여기에서 한발 나아가, 적응 가능성Adaptable이라는 키워드가 부각될 전망. 친환경적이고 재활용이 가능해 지속 가능한 소재뿐 아니라, 트렌드 변화에 유연하게 적응하는 모듈형 또는 시스템 가구가 부상한다. 이 가구들은 고정된 형태로 사용 후 폐기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구조로 재조립되어 다른 공간에서도 활용된다. 변화를 줄 때는 전체가 아닌 일부만 교체하면 된다. 또한, 시간이 지나도 가치를 잃지 않아 어디에나 잘 어울리는 클래식한 디자인의 가구들이 다시 출현하는 것도 반가운 소식으로, 또 다른 ‘적응 가능성’을 보여주는 예시다. _루밍 MD팀

 

04. 오브제&IOT

ⓒdesign2tone
ⓒdesign2tone

디자인 조명, 공예, 미술작품 등 ‘오브제’는 공간에 새로운 생명을 불어넣는 요소로 자리 잡고 있다. 장기적으로 머무는 공간일수록 변화가 필요하며, 쉽게 교체 가능한 오브제로 간단하게 분위기를 환기할 수 있다. 생동감 있는 컬러와 독특한 텍스처를 가진 오브제는 공간에 포인트가 되어주고, 현대미술 작품을 오브제로 선택할 경우 집에 갤러리 같은 감각적인 분위기를 선사할 수 있어 매력적이다. 오브제는 단순한 장식품을 넘어 개인의 취향과 개성을 드러내는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 가구와 벽지, 집 안의 분위기와 조화를 이루며 세련된 분위기를 조성하거나 공간 전체의 무드를 정의하는 역할을 한다.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IoT사물인터넷도 새로운 리빙 키워드로 떠오르고 있다. 예를 들어 자동 커튼, 원격 냉난방 조절, 자동화된 조명 등의 기능을 갖춘 ‘스마트’한 가전과 가구는 생활의 편리함을 극대화한다. _디자인투톤 대표 최현경

 

05. 올해의 컬러 : 브라운 스플렌더 RGB 164 78 45/CMYK 42 80 93 6

© 노루페인트
© 노루페인트

노루페인트 산하 컬러 디자인 전문 연구소인 ‘노루서울디자인스튜디오NSDS’는 노루페인트의 컬러&디자인 트렌드 북《COVER ALL Vol.08 Understanding커버올 8 언더스탠딩》을 통해 2025년을 대표할 키 컬러로 브라운 스플렌더를 제안한다. 황금빛이 감도는 진하고 깊은 브라운은 클래식함과 모던함이라는 상반된 매력을 동시에 품고 있다. 이 색은 묵직하면서도 경쾌하며, 메탈과 광물성 광택, 화려한 감각까지 아우르는 다채로움을 담고 있다. 브라운 스플렌더는 연출 방식에 따라 그 특성이 달라진다. 자연스럽고 자연 친화적인 분위기를 연출할 수도 있고, 때로는 차분하게 정제된 분위기를 연출할 수도 있다. 광물성 소재 혹은 금속성 안료와 사용한다면, 클래식한 분위기를 자아내면서도 현대적인 화려함을 표현할 수 있는 완벽한 선택이 될 것. _노루페인트 NSDS 수석연구원 현정오

 

06. 정서적 사물

© 이정우
© 이정우

핵개인화’와 비물질의 시대를 살아가는 오늘날,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사물과의 관계를 통해 얻는 위로의 시간이다. 디지털화로 물질성과 감각적 경험이 점점 희미해지는 사회에서, 리빙 디자인은 단순한 미적 완성도를 넘어, 정서적 치유와 개인적 유대감을 제공하는 중요한 매개체로 진화하고 있다. 이는 공간과 사물이 만들어내는 물리적·감성적 경험을 통해 상실된 감성을 회복하려는 움직임에서 비롯된다. 특히 한국 공예는 이러한 변화의 중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손맛이 느껴지는 자연스러운 요철, 불규칙한 두께, 그리고 공예품 고유의 텍스처는 디지털 세계가 대체할 수 없는 독창적인 감성적 마찰을 제공한다. 이러한 물질적 요소는 단순히 장식적 아름다움을 넘어, 인간과 사물 간 깊은 정서적 교감을 끌어낸다. 나아가 한국 공예는 전통 재료와 기법을 현대적으로 해석하고 결합해 새로운 조형미를 제시하며 리빙 디자인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창출한다. 일상의 오브제는 이제 단순히 실용적이거나 장식적인 역할에 그치지 않고, 사용자에게 정서적 위안을 제공하며 삶 속에 깊이 스며든다. 비물질화된 디지털 시대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우리는 다시금 물질과의 관계를 회복할 필요가 있다. 한국 공예가 가진 정서는 우리 고유의 감각과 감정을 어우르며, 리빙 디자인이 지향해야 할 미래의 중요한 축으로 자리 잡고 있다. _윤현상재 대표 최주연

 

07. 색

© 달앤스타일
© 달앤스타일

다사다난했던 2024년을 지나며, 지친 마음을 위로하는 데 있어 중요한 요소는 바로 ‘색’ 그 자체다. 2025년 컬러 트렌드는 자연과의 교감을 나타내는 따뜻한 색감이 중심이 될 예정. 팬톤에서도 따뜻하고 자연적인 갈색 계열의 브랜과 베이지 톤의 코쿤을 발표했고, 벤자민무어도 2025년의 트렌드 컬러로 뉴트럴하고 부드러운 시나몬 플레이트, 씨솔트를 제안했다. 이는 현대인이 심리적 안정과 편안함을 원하는 욕구를 반영한 결과다. 공간에 따뜻한 색감을 사용했을 때, 사람은 심적으로 안정감을 느끼고 공간을 더욱 넓고 포근하게 여기게 된다. 이처럼 색은 단순히 미적 요소를 넘어 심리적인 위안을 얻을 수 있고, 자연과 연결되며 개인의 개성을 표현할 수 있는 매개체다. 컬러테라피가 필요한 이 시점에서 현대인이 마음의 안정을 찾고 자기표현을 돕는 중요한 키워드가 될 것이다. _달앤스타일 대표 박지현


CREDIT INFO

editor신문경

취재 협조노루페인트 noroopaint.com, 달앤스타일 @dallstyle_designer, 디자인투톤 design2tone.space, 루밍 rooming.co.kr, 미라벨 mirabelle.shop, 에잇컬러스 8colors.co.kr, 윤현상재 younhyun.com

 

 

Related Article
    Array ( [idxno] => 6647 [url] => /news/articleView.html?idxno=63916 [title] => 더 나은 새해를 위한 공간 연출 아이디어 [target] => _self [article_idxno_self] => 63917 [article_idxno_target] => 63916 [sort] => 0 [default_img] => 202412/63916_60063_3659.jpg )
  • 더 나은 새해를 위한 공간 연출 아이디어
  • Array ( [idxno] => 6649 [url] => /news/articleView.html?idxno=63915 [title] => 각광받는 유튜버 5인이 전하는 성장 노하우 [target] => _self [article_idxno_self] => 63917 [article_idxno_target] => 63915 [sort] => 1 [default_img] => 202412/63915_60052_350.png )
  • 각광받는 유튜버 5인이 전하는 성장 노하우
  • Array ( [idxno] => 6692 [url] => /news/articleView.html?idxno=63926 [title] => 신년 트렌드 키워드 10가지 [target] => _self [article_idxno_self] => 63917 [article_idxno_target] => 63926 [sort] => 2 [default_img] => 202412/63926_60132_5635.jpg )
  • 신년 트렌드 키워드 10가지
저작권자 © 리빙센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