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식의 흐름을 보여주는 시상식, ‘아시아 50 베스트 레스토랑 2025’가 서울에서 열렸다. 지금 가장 주목받는 도시와 셰프들로부터, 아시아 미식의 방향을 살펴볼 수 있었다. 

‘아시아 50 베스트 레스토랑(Asia’s 50 Best Restaurants)’은 미쉐린 가이드와 더불어 세계적인 미식 시상식으로 손꼽히는 ‘월드 50 베스트 레스토랑’의 아시아 지역 행사다. 유럽이나 미국에 비해 덜 알려진 아시아의 레스토랑과 셰프를 발굴하고, 풍부한 미식 문화를 소개하기 위해 시작됐다. 올해 ‘아시아 50 베스트 레스토랑 2025’ 시상식은 서울에서 성공적으로 개최되었다. 농림축산식품부와 서울시가 공동 주관하고 산펠레그리노, 아쿠아파나가 후원한 이번 행사는 대한항공, 이금기를 비롯한 국내외 유수 브랜드가 공식 파트너로 함께했다. 이들이 준비한 리셉션 공간은 다양한 음식과 음료, 주류가 어우러져, 시상식을 찾은 이들에게 잊지 못할 미식 경험을 선사했다. 350명 이상의 평론가, 음식 전문 기자, 셰프, 미식 전문가로 구성된 아카데미의 투표를 통해 선정된 올해의 리스트에는 총 16개 도시의 레스토랑이 이름을 올렸다. 이 중 7곳은 처음으로 순위에 진입하며 아시아 미식의 새로운 바람을 예고했다.
가장 눈에 띄는 도시는 단연 태국 방콕. 올해 총 9곳의 레스토랑이 순위에 오르며, 아시아를 대표하는 미식 도시로서의 위상을 입증했다. 그 중심에는 가간 아난드(Gaggan Anand) 셰프의 레스토랑 ‘가간(Gaggan)’이 있다. 인도 요리를 기반으로 일본, 프랑스, 태국의 식문화를 조화롭게 녹여 혁신적인 다이닝 경험을 선사하며, 영예의 1위인 ‘아시아 베스트 레스토랑(The Best Restaurant in Asia)’ 자리에 올랐다. 방콕의 레스토랑 ‘반 테파(Baan Tepa)’도 화제를 모았다. 44위에 오른 이곳의 추다리 ‘탐’ 데바캄(Chudaree ‘Tam’ Debhakam)은 ‘아시아 최고 여성 셰프 상 2025(Asia’s Best Female Chef 2025)’를 수상하며 방콕 미식의 저력을 보여주었다.
일본 도쿄도 강세를 보였다. 총 9곳이 선정되었고, 이 중 프렌치 레스토랑 ‘세잔(Sézanne)’은 4위, 일본 요리를 현대적으로 해석하는 ‘나리사와(Narisawa)’는 12위를 기록했다. 홍콩도 7곳의 레스토랑을 순위에 올리며 존재감을 드러냈다. 현대적인 광둥 요리를 선보이는 ‘더 체어맨(The Chairman)’이 2위를, 동료 셰프들이 직접 선정하는 ‘이네딧 댐 셰프 초이스 어워드(Inedit Damm Chefs’ Choice Award)’를 수상한 ‘윙(Wing)’은 3위를 기록했다.
개최지인 서울의 레스토랑도 빛났다. 강민구 셰프가 이끄는 미쉐린 3스타 레스토랑 ‘밍글스(Mingles)’는 5위에 이름을 올렸고, 손종원 셰프의 ‘이타닉 가든(Eatanic Garden)’은 첫 진입과 동시에 25위라는 성과를 올리며 ‘최고 신규 순위 진입상(Highest New Entry Award)’을 수상했다. 이 외에도 싱가포르, 베이징, 라오스 등 다양한 도시의 레스토랑이 순위에 오르며, 아시아 미식의 오늘을 보여주는 새로운 지도가 탄생했다.

No.1 가간 @gaggan_anand, 가간 아난드 셰프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것은 요리를 만들 때 나의 행복이다. 요리를 만들 때 행복한지 행복하지 않은지에 따라 옳고 그름을 느낀다. 그래서 소규모의 레스토랑을 운영하며, 나의 행복이 고객에게도 전해지길 바란다. 레스토랑에서는 2시간 동안 25가지의 코스 요리가 이어진다. 그 시간만큼은 모든 걱정을 내려놓고, 오롯이 요리를 통해 행복을 느낄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

No.25 이타닉 가든 @eatanicgarden, 손종원 셰프
“한류, 그리고 아시아 웨이브 속에서 더 나은 것을 고민하고, 그 안에서 한국적인 것들을 많이 표현하려고 노력한다. 이타닉 가든에서는 ‘나물’을 통해 제철 재료와 한국의 삶을 느낄 수 있는 메뉴를 구상하고 있다. 또, 추억을 되살릴 수 있는 요리도 있다. 한국에서는 종이학을 여러 개 접으면 소원이 이루어진다고 믿는 문화가 있는데, 김을 종이학 모양으로 접은 메뉴로 그 기억을 떠올릴 수 있다.”

No.44 반 테파 @baantepabkk, 추다리 ‘탐’ 데바캄 셰프
“‘아시아 최고 여성 셰프 상’이 갖는 가장 큰 의미는 여성 셰프들의 철학과 가치관, 각자의 레스토랑에서 이루고자 하는 방향을 깊이 있게 조명하는 점이라고 생각한다. 개인적으로도 이 상을 통해 많은 여성 셰프가 지역사회와 협력하거나 다양한 프로젝트를 이끌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그로부터 영감을 받기도 했다. 자국의 식문화를 이끌면서 여성 셰프들의 활동을 함께 알릴 기회를 제공한다고 느낀다.”


CREDIT INFO

editor신문경

자료 협조 Asia’s 50 Best Restaurants theworlds50best.com/asia

Related Article
    Array ( [idxno] => 7648 [url] => /news/articleView.html?idxno=64356 [title] => 다문화 감성에 물든 도시, 베이루트를 걷는 다섯 가지 방식 [target] => _self [article_idxno_self] => 64355 [article_idxno_target] => 64356 [sort] => 0 [default_img] => 202504/64356_61949_1629.jpg )
  • 다문화 감성에 물든 도시, 베이루트를 걷는 다섯 가지 방식
  • Array ( [idxno] => 7724 [url] => /news/articleView.html?idxno=64392 [title] => 푸르름 속에서 찾은 웰니스 [target] => _self [article_idxno_self] => 64355 [article_idxno_target] => 64392 [sort] => 1 [default_img] => 202505/64392_62147_2536.jpg )
  • 푸르름 속에서 찾은 웰니스
  • Array ( [idxno] => 7802 [url] => /news/articleView.html?idxno=64411 [title] => 언제 떠나도 좋은, 미국으로! [target] => _self [article_idxno_self] => 64355 [article_idxno_target] => 64411 [sort] => 2 [default_img] => 202505/64411_62258_110.jpg )
  • 언제 떠나도 좋은, 미국으로!
저작권자 © 리빙센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