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남준, ’나의 파우스트 경제학’, 1992, MIxed media, 311×192×107cm, 사진 우양미술관 ©백남준
백남준, ’나의 파우스트 경제학’, 1992, MIxed media, 311×192×107cm, 사진 우양미술관 ©백남준

2025 APEC 정상회의를 맞아 경주의 두 미술관이 서로 다른 언어로 시대의 질문에 응답한다. 우양미술관은 재개관을 기념하며 특별전 〈백남준: Humanity in the Circuits〉를 선보인다. 전시는 1980~90년대, 기술과 인간, 예술의 경계를 넘나들던 백남준의 사유를 다시 불러내는 자리다. 영상과 전자신호로 엮인 그의 회로 속에서 인간은 여전히 중심에 선 존재로 남는다.

 

박대성, ‘코리아판타지’, 2023, 종이에 먹, 500×1500cm, 사진 솔거미술관 ©박대성
박대성, ‘코리아판타지’, 2023, 종이에 먹, 500×1500cm, 사진 솔거미술관 ©박대성

한편, 경주엑스포 솔거미술관은〈신라한향: 신라에서 펼쳐지는 한국의 향기〉를 통해 ‘지속 가능한 발전’이라는 APEC의 화두를 예술로 번역한다. 박대성, 송천 스님, 김민, 박선민 작가가 신라 예술의 미학을 바탕으로 과거와 현재를 잇는 사유의 풍경을 펼친다. 두 전시는 기술과 자연, 인간과 세계를 잇는 또 하나의 회로처럼 예술이 시대와 대화하는 방식을 보여준다.

문의 우양미술관 wooyangmuseum.org, 솔거미술관 gjsam.or.kr


CREDIT INFO

editor김소연

Related Article
    Array ( [idxno] => 8238 [url] => /news/articleView.html?idxno=64841 [title] => 빛을 조형하다, 모스 오브젝트 [target] => _self [article_idxno_self] => 64833 [article_idxno_target] => 64841 [sort] => 0 [default_img] => 202511/64841_64891_3535.jpg )
  • 빛을 조형하다, 모스 오브젝트
  • Array ( [idxno] => 8248 [url] => /news/articleView.html?idxno=64843 [title] => 경계를 횡단하는 콜라보 리빙 아이템 10 [target] => _self [article_idxno_self] => 64833 [article_idxno_target] => 64843 [sort] => 1 [default_img] => 202511/64843_64890_352.jpg )
  • 경계를 횡단하는 콜라보 리빙 아이템 10
  • Array ( [idxno] => 8262 [url] => /news/articleView.html?idxno=64855 [title] => 지구를 구하는 커피와 차 문화에 대하여 [target] => _self [article_idxno_self] => 64833 [article_idxno_target] => 64855 [sort] => 2 [default_img] => 202511/64855_64896_3826.jpg )
  • 지구를 구하는 커피와 차 문화에 대하여
저작권자 © 리빙센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